2015 아시아태평양장애인대회
2015 AP-DPO United General Assembly
사이드 이벤트 (Side Event)
Side Event 1
한국여성장애인연맹협조 / 일산장애인직업능력개발센터협력
Collaboration with KDAWU / Cooperation with KEAD Ilsa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아시아태평양 여성장애인의 Beauty Inside (네일아트)
Beauty Inside of Asia and the Pacific Woman with Disabilities (Nail Art Service)
2015년 11월 4일(수) 09:30~11:30 그랜드볼룸 로비 앞
4 November, 2015, 09:30~11:30 In front of Grandball Room
Side Event 2
한국지체장애인협회협조
Collaboration with KAPPD

편의시설증진을 통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안
Alternatives to enhance accessibility through improved convenience facility
2015년 11월 4일(수) 17:30~18:30 그랜드볼룸
4 November, 2015, 17:30~18:30 Grandball Room
연사자 Speaker
1. 홍현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편의증진국 국장 (Mr. Hong Hyunkeun, KAPPD Director)
: 한국의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증진정책 (Introduction of Policies & ATAC’s Activities on Promotion of Comfortablity & Convenience(=Amenity))
2. 서재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BF인증 팀장 (Mr. Seo Jaewon KEAD, Chief)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소개 (Introduction to Barrier Free Certification)
Side Event 3
한국척수장애인협회협조
Collaboration with KSCIA /DiDAK
장애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위한 니즈파악
Identify need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Disability sector
2015년 11월 5일(목) 13:30~15:00 그랜드볼룸
5 November, 2015, 13:30~15:00 Grandball Room
연사자 Speaker
1. 이남순 KOICA 민관협력팀 팀장 (Ms. Lee Namsoon, KOICA Civil Society Cooperation Team Director)
: KOICA & KOICA의 장애관련 프로그램 (KOICA and KOICA’s Disability-Related Programs)
2. 조영인 한국장애인연맹 국제협력팀장 (Ms. Cho Youngin, DPI Korea F.A Team Manager)
: 개발협력연대 장애분과 (DiDAK)
3. 정우석 한국척수장애인협회 과장 (Mr. Jung Woosuk, KSCIA Chief)
1) 한국DPI의 몽골 울란바토르시 장애인 이동 및 편의 증진 사업 (Promoting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Person with Disability in Ulaanbaatar, Monglia / DPI Korea)
2) 밀알복지재단장애인 분야 국제협력사업 (MIRAL Welfare founda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 For Disabled people)
3) 엔젤스헤이븐 해외사업 (Angels Haven Overseas Project)
4) “Back to the community in Nepal”사업 추진 현황("Back to the community in Nepal” Progress report)
4. 5개 하위지역 해외참가자 (5 Sub-rgion Foreign Participants
Side Event 4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협조
Collaboration with KOIL

UN CRPD 제 19조 '자립적 생활 및 지역사회에의 동참'의 이행을 위한 촉구 메시지
The urging message for implementation of UN CRPD Article 19, Living independently and being included in the community
2015년 11월 6일(금) 13:30~14:50 그랜드볼룸
6 November, 2015, 13:30~14:50 Grandball Room
연사자 Speaker
1. 황백남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회장 (Hwang Baeknam, Seoul IL Center President)
: 서울특별시 탈 시설 화 정책을 접목한 정부의 탈 시설 정책 제언 (A Proposal for the Government’s Deinstitutionalization Policy engrafted with Seoul’s Deinstitutionalization Policy)
2. 강현옥 경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Kang Hyeonok, Gyeongin IL Center Director)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5년의 제도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 (Problems Within the System of the Activity Assistance Service for Disabled Person During the Last 5 Years, and Proposals for Improvements)
3. 김재익 Good Job자립생활센터 소장(Kim Jaeik, Good Job IL center Director)
: 자립생활센터 육성 및 지원 촉구를 위한 정책강화 (Policy Improvement to Nurture and Demand Support for Self-reliant living center)
Side Event 5
한국근육장애인협회협조
Collaboration with KMDA

웹 매핑 (Web Mapping), 장애인당사자가 확장해 가는 접근 가능한 지구
Web Mapping, Expanding accessible district by Persons with disability Parties
2015년 11월 6일(금) 15:00~15:50 그랜드볼룸
6 November, 2015, 15:00~15:50 Grandball Room
연사자 Speaker
1. 정영만 한국근육장애인협회 회장 (Jeong Yeongman, KMDA President)
: 휠체어 접근 가능한 커뮤니티 매핑 (Community Mapping for Wheelchair Accessibility)
2. 임완수 커뮤니티매핑센터장 (Im Wansoo Community Mapping Center Director)
: 커뮤니티매핑-지도 만들기 (Community Mapping(Making the map))
사진다운로드(Download) https://drive.google.com/folderview?id=0B4un_SX4K6xYa1VtM2hsR0dScXc&usp=sharing